기자실 통폐합이 “언론탄압”이라 하는 언론들

기자실 통폐합이 “언론탄압”이라 하는 언론들

정부가 기자실을 통폐합하겠다고 하자 자칭 진보언론이라 일컫는 한겨레를 포함하여 이 땅의 언론이라 불리는 전 언론들이 들고 일어났다. 이념의 좌우를 막론하고, 기자들이 누리는 특권과 편리함을 조금이라도 손상시키는 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는 그들의 기개에 숙연함마저 느껴진다. 어차피 나는 조중동을 보지 않기 때문에 그들이 뭐라 지껄이는지는 알 수도 없고 관심도 없지만, 한겨레와 오마이뉴스에도 참여정부를 비난하는 기사들로 도배되고 있다.

[한겨레신문] 소통 개선?…‘여론 수렴’ 또 건너뛰었다

[한겨레신문] ‘닫힌 정부’…정보 접근 벽 높아질라

[한겨레신문] 노대통령 발언 넉달만에 전격 ‘통폐합’

[한겨레신문] 인권침해·밀실행정 감시기능 위축

[오마이뉴스] 기자실통합? 브리핑 수준이나 올려라”

[오마이뉴스] 국민 알권리 무시한 정부로 낙인 찍히나?

기자실의 통폐합이 왜 국민의 알 권리를 무시하는 것인지, 왜 여론 수렴이 안되는 것인지, 왜 닫힌 정부가 되는 것인지, 왜 언론의 감시기능이 위축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렇다면 기자실이라는 제도가 아예 없는 미국 같은 나라는 언론자유가 전혀 없는 나라이란 말인가? 기자실이 언론자유의 핵심이란 말인가? 기자실이 브리핑룸이 되면 언론은 탄압받는 것인가?

한겨레는 그나마 양심은 있는지 기자실 통폐합과 브리핑룸으로의 전환에 대한 장점을 나름대로 소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출입처 위주 취재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기자실 통폐합이 가져올 가장 큰 장점으로 꼽는다. 출입처에 매몰된 일선 기자들이 정책이나 사회현상을 큰 시각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공급자 위주의 좁은 시각으로 다뤄 기사의 깊이가 얕고 일방적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서중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부가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기자실 통폐합이 결과적으로 출입처 중심의 취재 시스템을 바꾸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며 “기자들이 특정 출입처가 아니라 여러 부처를 넘나들며 종합적으로 취재해 심층 보도를 하는 시스템으로 바뀌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의 폐쇄적인 기자실 운영방식에 따른 부작용도 사라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창룡 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교수는 “과거 기자실에는 촌지 수수의 창구, 기사 담합, 폐쇄적 취재구조 형성 등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다”며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은 언론의 부당한 정치적 개입이나 특혜를 없애겠다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서중 교수도 “기자실을 통해 언론사들이 압력단체가 된다든지, 브리핑 룸으로 바뀐 뒤에도 신생 언론사나 작은 언론사에 문턱이 높다든지 하는 폐해들을 기자실 통폐합으로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부작용 (예를 들면, 정부의 투명성이 낮고, 정보 공개가 안되는 것 같은) 때문에 반대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기자실이 있는 현재까지 우리나라 언론들은 얼마나 심도있는 기사들을 써 왔는지 반문하고 싶다. 스스로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와 의도에 따라 얼마나 많은 소설같은 기사들을 생산해 왔는지 정말 알지 못한다 말인가?

정말 제대로 된 언론이고 기자들이라면 정부의 이번 조치를 환영해야 한다. 자신들이 조금 불편해 질 수 있음을 감수하고라도 투명하고 공정한 정보 취득과 심도있는 기획 취재를 해야 한다. 기자실이 이런 것을 해 주는 건 아니지 않은가? 발로 쓰는 기사를 만들어내야 하는 것 아닌가? 요즘같이 통신 수단이 홍수를 이루고 있는 시대에 기자실이 없어서 제대로 된 기사를 쓰지 못한다고 하는 기자들은 기자 자격이 없는 것이다.

자신들의 특권과 편의가 침해받는다고 언론탄압이라 하는 그런 언론들은 진짜 언론이 아니다.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이런 특권을 누리고자 하는 언론들이다. 이런 짝퉁 언론들을 개혁하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One thought on “기자실 통폐합이 “언론탄압”이라 하는 언론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