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취임

왜 서민들은 이명박을 지지할 수 밖에 없을까

왜 서민들은 이명박을 지지할 수 밖에 없을까

한겨레21이 흥미로운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겨레21은 이명박 취임 1주년을 맞이하여, 아직까지도 이명박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사람들의 소득을 토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는 가난한 서민들이 이명박의 정책을 더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부세하고는 아무런 관련도 없는 이들이 종부세 축소와 폐지에 더 많이 찬성했고, 아이들 학원비도 제대로 줄 수 없는 사람들이 사교육을 조장하는 교육정책을 지지했다.

이명박이 지난 1년간 한 일이라고는 상위 1~2%의 특권층을 더욱 배불리는 것이었는데,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들이 왜 이명박이를 더 지지하고 나서는 것일까? 우리나라 서민들은 메조키스트들인가? 정상적인 사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 불가사의한 일이 21세기 인터넷 강국이라는 대한민국에서 왜 버젓이 성행하는 것일까? 과연 서민들은 이명박이 어떤 인간인지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한겨레21이 이러한 이율배반적인 현상에 대해 변함없이 전문가들의 해석을 덧붙였지만, 핵심을 찌르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이러한 계급 배반 현상은 서민들이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없도록 우리나라 지배 기제들이 얼마나 견고하고 완벽하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것이다. 지난 가을, 나는 도스타인 분데 베블렌을 말을 인용하면서 왜 서민들이 보수적인지를 설명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내일을 생각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보수적이요, 부자들은 오늘에 불만을 품을 이유가 없기 때문에 보수적이다.

<도스타인 분데 베블렌, 유한계급론>

가난한 사람들은 하루하루 벌어먹기가 힘든 사람들이다. 지배 계급이나 특권층이 자신들을 어떻게 등쳐먹고 있는지를 분석할 시간도 없고, 여유도 없다. 그저 하루하루를 근근히 버텨나가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에게 여론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조중동문과 같은 수구 언론들의 마타도어는 그야말로 이들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극약이다. 이명박이 집권하자마자 왜  KBS와 YTN을 장악하고자 발악을 했겠는가. 신문 시장은 이미 친일과 독재 부역 세력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었지만, 방송은 아직도 민주 정권 세력들이 경영자로 있었기 때문에 이들부터 축출해야 했던 것이다. 정연주가 사라진 KBS는 그야말로 순식간에 정권의 나팔수가 되어버렸다.

서민들이 종부세의 구체적 사항을 파악하기도 전에 쓰레기 수구 언론들은 “세금 폭탄”이라는 마타도어로 이들을 융단폭격 해버렸다. 자기 집 한 채 없는 서민들은 종부세 대상자들도 아니면서, 종부세를 반대하는 이유는 그 세금의 구체적 용도를 알기도 전에 이미 폭탄으로 인식해 버렸기 때문이다. 자식들 학원비조차 제대로 마련해주는 부모들이 이명박의 교육 정책을 지지하는 이유는 “평준화 교육 정책”이 이 땅의 공교육을 말아먹었다는 쓰레기 신문들의 사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서민들을 위한 언론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겨레와 경향 정도가 있다고는 하지만, 이들의 힘은 여론 시장에서 너무 미약할 뿐더러, 이들이 가진 편협함이 서민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는 서민들을 위한 정치 세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나라당이야 원래 가진 자들을 위한 정당이니 그렇다쳐도, 민주당의 궁물 정신과 민노당의 독선은 서민들의 이해관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좌파들이 아무리 “신자유주의”가 문제라고 게거품을 물어도 그것은 공허한 메아리가 되어 버린다. 이명박이 매일매일 사기를 쳐도 서민들은 그것을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용산 참사는 강호순 사건으로 돌려막고, 청와대 여론 조작은 추기경의 죽음으로 돌려 막는 판국에서 이명박이 어떤 짓을 해도 서민들은 그것이 자기들의 목줄을 조이는 것이라는 것을 모른다.

수구 신문과 어용 방송들의 여론 장악과 더불어 이 땅 서민들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또다른 도구들은 바로 지역감정과 남북 대치 상황이다. 군부 독재의 후예, 차떼기 원조 한나라당은 어떤 짓을 해도 30% 지지세력이 있다. 선거 때마다 투표율이 점점 낮아지는 상황에서 이 30%는 언제나 한나라당에게 국회의 절반 이상의 의석을 몰아주고 있다. 민주 정권 10년으로 남북관계가 많이 좋아졌었지만, 이명박이 들어오면서 다시 남북 대치가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빨갱이라면 이를 가는 60대 이상의 노인들은 꼬박꼬박 투표를 한다.

쓰레기 언론들의 여론 장악, 지역 감정, 남북 대치 상황은 우리나라 서민들이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든다. 여기에 젊은이들의 정치 무관심과, 중산층과 특권층들의 탐욕이 더해져 대한민국은 완벽한 매트릭스(Matrix)가 되어버렸다. 그야말로 이 땅의 부도덕한 특권층과 지배계급이 만들어낸 매트릭스에서 서민들은 실험실 쥐처럼 생활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지배계급의 카르텔을 깨지 않고서는 서민들의 이명박 지지를 막을 수 없는 것이다. 좌파들이 정신차려야 하는 이유, 깨어있는 사람들이 정신차려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 사회의 시급한 당면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어떻게 하면 이 카르텔을 깨뜨릴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어제는 작심하고 하루종일 TV 앞에 앉아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을 보았다. 직접 워싱턴에 가볼까 생각도 해봤지만, 날씨도 춥고 사람이 너무 많을 것 같아 일찌감치 TV로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을 지켜보기로 했다.

오바마를 지지하든 그를 지지하지 않든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이 있다. 바로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라는 것. 링컨이 노예해방선언문에 서명한지 정확히 146년만에,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바로 그 링컨기념관 앞에서 그 역사에 남을만한 연설인 “I have a dream”을 외친지 46년만에 현재 세계 초강대국이라는 미국에서 첫 흑인 대통령이 탄생했다.

흑인이 아닌 나도 이렇게 가슴이 벅차오르는데, 정작 흑인들은 어떻겠는가. 수백년동안 노예로 비천한 삶을 살았고, 아직도 보이지 않는 차별로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그들은 모두 감격의 눈물을 흘리면서, 말을 잇지 못했다.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은 그들에게 있어 제2의 해방을 의미했다.

1963년 8월 28일, 마틴 루터 킹 목사는 링컨 기념관 앞에서 이렇게 사자후를 토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this nation will rise up and live out the true meaning of its creed: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I have a dream that one day on the red hills of Georgia the sons of former slaves and the sons of former slave owners will be able to sit down together at the table of brotherhood.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n the state of Mississippi, a stat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injustic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oppression,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asis of freedom and justice.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down in Alabama, with its vicious racists, with its governor having his lips dripping with the words of interposition and nullification; one day right down in Alabama little black boys and black girls will be able to join hands with little white boys and white girls as sisters and brothers.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ry valley shall be exalted, and every hill and mountain shall be made low, the rough places will be made plain, and the crooked places will be made straight,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all flesh shall see it together.

<마틴 루터 킹, “I have a dream” 연설 중에서>

그리고, 46년이 지난 2009년 1월 20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링컨 기념관 맞은 편에 있는 국회의사당 앞에서 대통령 취임 연설로 이렇게 화답했다.

The time has come to reaffirm our enduring spirit; to choose our better history; to carry forward that precious gift, that noble idea,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God-given promise that all are equal, all are free, and all deserve a chance to pursue their full measure of happiness.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연설 중에서>

사람은 피부 색깔에 관계 없이, 가진 것에 관계 없이 모두 평등하다는 진리, 자유롭다는 진리,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는 진리가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한지 150여년만에 그리고 킹 목사가 외친지 50여년만에 오바마에 의해 실현되어지려는 순간이다.

지금 미국은 경제 문제를 비롯해서 수많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이 세계 초강대국으로서 엄청난 권력을 휘둘러왔지만, 그들은 탐욕스러웠고, 겸손하지 못했으며, 때로는 무자비했다. 촘스키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야말로 통제되지 않는, 통제할 수 없는 수퍼 불량 국가였던 것이다. 이제 그 미국이 자신들의 탐욕으로 인한 엄청난 위기에 봉착하고 말았다. 그리고 그들은 새로운 지도자로 오바마를 택했다.

오바마가 미국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적어도 그는 그 전의 미국 지도자들 보다는 조금은 더 도덕적이고, 조금은 더 진보적일 것이라는 기대는 있다. 그가 제시한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책들을 보면 그가 적어도 건전한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Our challenges may be new. The instruments with which we meet them may be new. But those values upon which our success depends — hard work and honesty, courage and fair play, tolerance and curiosity, loyalty and patriotism — these things are old. These things are true. They have been the quiet force of progress throughout our history. What is demanded then is a return to these truths. What is required of us now is a new era of responsibility — a recognition, on the part of every American, that we have duties to ourselves, our nation and the world, duties that we do not grudgingly accept but rather seize gladly, firm in the knowledge that there is nothing so satisfying to the spirit, so defining of our character, than giving our all to a difficult task.

열심히 일하기, 정직, 용기, 선의의 경쟁, 관용, 호기심, 성실, 그리고 애국심. 결국 인간이 가치를 생산해낼 수 있는 무기들은 우리가 이미 너무도 잘 알고 있는 기본들이다. 그는 그의 취임 연설에서 그 기본을 강조했다.

비주류가 대통령이라는 권력의 최고 정점에 오르기 위해서는 주류보다도 더 도덕적이어야 하며, 더 똑똑해야 하며, 더 정직해야 하며, 더 열심히 일해야 하며, 더 잘생겨야 하며, 더 말을 잘해야 한다. 게다가 하늘도 도와야 한다. (미국의 경제 위기가 터지지 않았더라면 오바마가 아무리 훌륭한 자질이 있다 하더라도 대통령이 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오바마가 미국 대통령이 된 것은 미국 국민들 뿐만 아니라 전세계 민중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좋은 일일 것임이 분명하다. 그의 통치 아래서 미국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도덕적이고 조금 덜 탐욕적이길 기도한다. 오바마가 킹 목사의 꿈을 한발 한발 이루어가길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