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기술결정론

유발 하라리의 세 가지 질문

유발 하라리의 세 가지 질문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는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그의 주장은 (물론, 오류가 가득하지만) 도발적이고 독창적이며 재미있다.  그가 <호모 데우스>의 말미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하는데, 그 질문들에 대한 짧은 생각을 적어 본다.

1. 유기체는 단지 알고리즘이고, 생명은 실제로 데이터 처리 과정에 불과할까?

2. 지능과 의식 중에 무엇이 더 가치 있을까?

3. 의식은 없지만 지능이 매우 높은 알고리즘이 우리보다 우리 자신을 더 잘 알게 되면 사회, 정치, 일상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김영사, 2017>

  1. 학자들도 생명을 명확하게 정의하지 못한다. 어떤 이들은 물질대사로, 어떤 이들은 유전자로, 어떤 이들은 열역학법칙으로 생명을 정의하려 한다. 그 어느 것도 생명을 충분하게 보편적으로 정의하지 못한다. 생명을 데이터 처리 과정이라 말하는 것은 생명이 지닌 하나의 특성을 기술한 것뿐이다.  생명을 정의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발견한 가장 정확한 생명에 대한 정의는 “생명은 의식”이라는 것이다. 생명과 의식은 하나다.
  2. 지능과 의식은 분리될 수 없다. 의식 없는 지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의식은 지능의 전제 조건이다.
  3. 의식은 없지만 지능이 매우 높은 알고리즘은 존재할 수 없다. 의식 없는 지능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은 데이터 처리 절차일 뿐이다. 따라서 존재할 수 없는 알고리즘이 우리 자신을 더 잘 알게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데이터는 현실의 묘사일 뿐, 현실 자체가 될 수 없다. 데이터가 만들 수 있는 세계는 가상 세계일 뿐이다. 데이터 분석은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알고리즘이 직접 의사 결정을 한다면 그것은 호모 사피엔스들이 그렇게 알고리즘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유발 하라리 같은 사피엔스들이 흔히 저지르는 오류는 호모 사피엔스를 너무 높이 평가한다는 것이다. 사피엔스들은 생명이 무엇인지 모르고, 생명을 창조할 수 없다. 단지 유전자를 조작할 뿐이다. 의식이나 영의 세계에 대해서는 거의 무지한데, 모르기 때문에 그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것은 유물론자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유발 하라리 같은 사피엔스들이 저지르는 또다른 오류는 사피엔스 자신들이 개발한 과학기술을 분리하여 타자화한다. 과학기술은 은하계 우주에서 뚝 떨어진 에일리언이 아니다. 사피엔스들이 연구하고 개발한 지식이다. 더구나 유발 하라리는 그 과학기술이 모든 것을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사피엔스를 지배한다고 예언한다. 이것은 극단적 기술결정론자들의 특징이다.

따라서 유발 하라리는 재주 좋은 입담꾼인 동시에, 유물론자이자 극단적 기술결정론자라 할 수 있다.

트위터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트위터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허지웅 씨와 고재열 씨의 “트위터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라는 논쟁을 재미있게 보았다. 이것은 기술결정론에 대한 전통적인 논쟁의 2010년판이라 할 수 있다. 트위터는 정보 유통에 대한 강력한 잠재력을 가진 도구인데, 이 도구를 이용하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앨빈 토플러나 토마스 프리드만 같은 기술결정론자들은 기술의 발전(특히, 정보기술의 발전)이 세상을 바꾼다고 말한다. 그것도 유토피아로 말이다. 기술결정론자들의 장밋빛 환상이다. 과연 정보기술이 발전하면 세상은 유토피아가 될 수 있을까? 아니 조금이라도 나아질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때문에 기술의 발전 자체가 세상을 직접적으로 바꾸지는 못한다. 하지만, 기술 그 자체에 내재된 속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총이라는 도구를 발명했는데, 그 총이라는 것은 사람이든, 동물이든 생명을 죽이는데 사용된다. 총으로 농사를 지을 수도 없고, 사람을 살리는 수술을 할 수도 없다. 핵무기는 어떤가? 결국 기술에도 근원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속성 또는 가치가 있다. 인류 역사 상 세상을 바꾼 기술이라는 일컬어지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금속 활자, 증기 기관, 인터넷 같은 것들이다. 이런 기술들이 사람들의 사용에 의해 잠재적으로 내재되어 있던 속성이 발현되었고, 결국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바꾸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사람”이다. 기술을 만드는 것도 사람이고,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사람이다. 궁극적으로 세상을 바꾸는 것은 기술의 발전이 아닌 사람이다. 좀 더 나은 세상으로 바꾸는 것은 “깨어있는 사람들”이다. 깨어있는 사람들의 조직된 힘과 행동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나 블로그 같은 서비스들은 정보를 공유하고 사람들을 조직하는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도구들이다. 때문에 지배계층은 인터넷이라는 것을 몹시 싫어하고, 어떻게 해서든 통제하려 한다. 인터넷이 권력의 분산과 이동에 도움을 주는 속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깨어있는 사람들의 조직된 힘과 행동이고, 트위터는 그들에게 큰 도움을 주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