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참나를 알기 위한 도구

참나를 알기 위한 도구

참나를 깨닫기 위한 단순하지만 강력한 도구.

“지금 잠깐 멈추고 숨쉬기.”

길고 깊게 숨 쉬고, 느리고 부드럽게 숨 쉬어라. 에너지가 가득하고 사랑이 가득한 삶, 그 삶의 부드럽고 달콤한 무(無)를 숨 쉬어라. 너희가 쉬는 숨은 신의 사랑이니, 깊이 숨 쉬어라. 그것을 느낄 수 있도록 아주아주 깊이 숨 쉬어라. 그 사랑이 너희를 울게 하리니. 기쁨에 겨워 울게 하리니.

<남우현, 죽음 그 이후, 지식과감정, 2022, p. 189>

하염없이

하염없이

국어사전에는 ‘하염없이’라는 말이 ‘시름에 싸여 멍하니 이렇다 할 만한 아무 생각이 없이’ 또는 ‘어떤 행동이나 심리 상태 따위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계속되는 상태로’라는 뜻으로 풀이되어 있다.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다가 ‘하염없이’라는 말에 꽂혔다.

“군사독재 정권 밑에서 교련선생이 뭐냐, 교련선생이. 죽은 느그 성이 무덤서 벌떡 일어나겄다.”

속엣말을 감추는 법이 없는 아버지가 만날 때마다 쏘아붙였더니 어느 날 박선생이 느닷없이 눈물을 쏟으며 말했다.

“상욱아. 너 하염없다는 말이 먼 말인 중 아냐?”

아버지는 말문이 막혔고 박선생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먹은 소주가 죄 눈물이 되어 나오는 것 같았다고. 생전 처음 취했던 아버지가 비틀비틀, 내 몸에 기대 걸으며 해준 말이다. 고2 겨울이었다. 자기 손으로 형제를 죽였을지도 모른다는 자책감을 안고 사는 이에게 하염없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열일곱 여린 감수성에 새겨진 무늬는 세월 속에서 더욱 또렷해져 나는 간혹 하염없다는 말을 떠올리곤 했다. 아직도 나는 박선생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알지 못한다. 다만 하염없이 남은 인생을 견디고 있을, 만난 적 없는 아버지 친구의 하염없는 인생이 불쑥불쑥 내 삶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곤 했다.

<정지아, 아버지의 해방일지, 창비, 2022, pp. 49-50>
감사의 원리

감사의 원리

1. 긍정적 생각은 감사의 원천입니다.

2. 긍정은 불평과 불만을 감사로 바꿉니다.

3. “네가 지금 가지고 있는 것들에 감사할 줄 알기까지는 너는 네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리라.” <존 크랠릭, 365 Thank You>

4. 감사하는 사람은 지혜가 깊어지고 심미안이 열립니다.

5. 감사하는 사람은 미래를 낙관합니다. 과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에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6. ‘마치 이루어진 듯이’ 미리 감사하면, 진짜 이루어집니다.

7. 감사가 성취의 확률을 더 높여줍니다.

8. ‘마음에 담아 두는 백 마디’보다 ‘감사의 한 마디’가 더 감동을 줍니다.

9. 습관이라는 그릇을 만들어놓으면 내용은 채워집니다.

10. 감사가 습관이 되면 감사문화가 됩니다.

11. 감사는 희망의 언어입니다.

12. 감사는 역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인생의 출구입니다.

13. 절망의 상황에서도 감사해야 합니다.

14. 보상에 침 흘리지 말고 그저 감사하면 호박이 넝쿨째 들어옵니다.

<손욱, 나는 당신을 만나 감사합니다, 김영사, 2013, pp. 164-165>

파리와 서민

파리와 서민

파리는 나면서부터 부모한테 버려진 채 평생 가족도 집도 없이 혼자 산다. 항상 벌, 거미, 참새 등의 위협을 받지만 남을 위협하는 일은 없고, 먹이라고는 인간 사회의 폐기물밖에 없다. 파리의 생태는 전혀 아름답지 않지만, 잔인하지 않으며 극히 조촐한, 말하자면 서민들이 사는 모습과 닮았다.

<하이타니 겐지로,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양철북, 2002, p. 92>
영혼이 형성되다

영혼이 형성되다

“중증입니다! 당신 내부에 영혼이 형성된 게 틀림없어요.”

영혼? 그것은 오래전에 잊혀진 고대의 해괴한 단어가 아닌가.

“그건…… 많이 위험한가요?” 나는 중얼거렸다.

치유가 불가능합니다.” 가위로 자르듯이 그가 말했다.

“아니…… 구체적으로, 그게 무엇인지요? 저는, 도저히…… 도저히 상상이 안 됩니다.”

“흠…… 이걸 어떻게 설명하나……”

<예브게니 자먀찐, 우리들, 열린책들, 1996, p. 116>

불행해질 권리

불행해질 권리

“하지만 저는 불편한 것을 좋아합니다.”

“우리는 그렇지 않아.” 총통이 말했다.

“우리는 여건을 안락하게 만들기를 좋아하네.”

“하지만 저는 안락을 원치 않습니다. 저는 신을 원합니다. 시와 진정한 위험과 자유와 선을 원합니다. 저는 죄를 원합니다.”

“그러니까 자네는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하고 있군 그래.”

“그렇게 말씀하셔도 좋습니다.” 야만인은 반항적으로 말했다.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합니다.”

“그렇다면 말할 것도 없이 나이를 먹어 추해지는 권리, 매독과 암에 걸릴 권리, 먹을 것이 떨어지는 권리, 이가 들끓을 권리,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서 끊임없이 불안에 떨 권리, 장티푸스에 걸릴 권리, 온갖 표현할 수 없는 고민에 시달릴 권리도 요구하겠지?”

긴 침묵이 흘렀다.

“저는 그 모든 것을 요구합니다.” 야만인이 마침내 입을 열었다.

무스타파 몬드는 어깨를 추슬렀다.

“마음대로 하게” 하고 그가 말했다.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1998, p. 305>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인간을 위한 디자인>의 저자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에 따르면, 디자인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디자인은 의미 있는 질서를 만들기 위한 의식적이고 직관적인 노력이다. (Design is the conscious and intuitive effort to impose meaningful order.)

<Victor Papanek, Design for the Real World, 2nd ed., Thames & Hudson, 1984, p. 4)

디자인이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취하는 행동 양식을 기능이라 하는데, 기능은 다음과 같은 6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방법(Method): 도구, 작업과정, 재료의 상호작용
  • 용도(Use): 그것은 잘 작동하는가?
  • 필요성(Need): 욕구(Want)와 필요(Need)의 구별
  • 텔레시스(Telesis): 목적 달성을 위한 자연과 사회의 신중하고 분명하게 계획된 과정
  • 연상(Association): 인간의 충동이나 욕망과 관계된 생각
  • 심미성(Aesthetics): 완전한 감성적 인식, 아름다움

암이란 무엇인가

암이란 무엇인가

안드레아스 모리츠에 따르면, 암은 질병이 아니다.

암세포는 세포의 생애주기를 거부한 돌연변이 세포다. 건강한 몸은 면역기능을 동원하여 이런 돌연변이 세포를 제거한다. 암세포가 자라나 암으로까지 발전하는 것은 몸의 면역이 그것을 제거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하든지 아니면 그것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생존에 더 도움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정상 세포는 산소와 포도당의 결합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산소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는 상황에서 세포는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돌연변이 세포인 암세포는 신진대사 노폐물이 쌓여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암세포들은 노폐물이나 젖산의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암세포는 젖산을 재사용함으로써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하나는 스스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건강한 세포 주변에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이러한 노폐물이 제거되지 않으면 매우 강한 산성 물질이 쌓여 치명적인 산성 혈증(Acidosis)을 유발한다.

젖산 대사를 하는 암이 없으면 젖산이 혈관 벽에 구멍을 뚫을 수 있고, 그 구멍을 통해 노폐물이나 오염물질이 혈관으로 들어올 수 있다. 그로 인해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하면 죽는다. 따라서 암은 질병이 아니라 몸이 이용할 수 있는 최후의 생존 메커니즘이다. 암은 다른 자기 보호 수단이 모두 실패했을 때에만 몸을 통제한다.

암에 걸렸다는 것는 다른 정상적인 생존 방식이 작동하지 않을 만큼 몸의 처지가 좋지 않다는 얘기다. 정상적인 생존 방식이 작동할 수 있는 처지와 환경이 되면 암은 자연스럽게 낫게 된다.

안드레아스 모리츠의 <암은 병이 아니다>는 모든 암환자들이 반드시 읽어야할 필독서다.

어떤 말은 죽지 않는다

어떤 말은 죽지 않는다

말은 사람의 입에서 태어났다가 사람의 귀에서 죽는다. 하지만 어떤 말들은 죽지 않고 사람의 마음 속으로 들어가 살아남는다.

<박준,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난다, 2017, p. 19>

콜레스테롤에 대한 진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진실

스티븐 시나트라와 조니 보든이 쓴 <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는 아주 유용한 책이다. 단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이유로 고지혈증이라는 병을 진단 받고 매일 약을 먹는 사람들은 꼭 한 번 읽어봐야 한다. 이 책의 내용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콜레스테롤 수치와 심장질환과의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상관관계나 인과관계를 분명하게 얘기할 수 없다.
  2. 좋은 콜레스테롤(HDL)과 나쁜 콜레스테롤(LDL)로 나누는 것은 큰 의미 없다.
  3. 콜레스테롤 수치가 160mg/dL 미만으로 낮아지면 우울증, 공격성, 뇌출혈, 성욕 감퇴가 일어날 수 있다.
  4. 콜레스테롤 수치보다 더 정확한 지표는 중성지방(Triglyceride)과 HDL의 비율이다. 이 비율이 2정도라면 문제될 것이 없다.
  5. 포화지방이 해롭다는 상식은 잘못됐다. 포화지방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당이다.
  6.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 먹는 스타틴 계열 약은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 인지 능력과 기억력 저하
    • 일과성 완전 기억상실 발생
    • 심장에 좋은 영양소 코엔자임 Q10 생산 차질
    • 면역력 약화
    • 남자는 발기부전, 여자는 성욕 감퇴
  7.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