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영화

친엄마 맞아?

친엄마 맞아?

암탉은 엄마가 되고 싶었다. 자기 알을 품어 새끼를 키우고 싶었다. 그것이 목숨 걸고 양계장을 탈출해야 하는 이유였다. 암탉은 숲에서 어미 잃은 청둥오리의 알을 품었고, 청둥오리 새끼의 엄마가 되었다.

“친엄마 맞아?”

늪에서 살던 다른 짐승들이 수군거렸다. 암탉이 오리를 키우다니. 암탉은 하늘을 날지도 못했고 헤엄을 칠 줄도 몰랐다. 청둥오리가 크면서 배워야할 것들을 알려줄 수 없었다. 하지만 암탉은 친엄마보다도 더 애지중지하며 새끼 오리를 키웠다. 암탉에게 친엄마, 새엄마는 아무 의미없는 편견이었다.

세상을 지탱하는 것을 단 하나 고르라면 그것은 바로 “엄마의 마음”이다. 엄마는 생명의 기원이고, 세상을 유지하는 유일한 원동력이다. 복제 동물을 제외하고 엄마 없는 생명은있을 수 없다. 엄마 잃은 새끼처럼 불쌍한 생명은 없다.

계절이 바뀔수록 청둥오리는 건장하게 자랐고, 암탉은 시름시름 야위어갔다. 암탉은 모든 것을 다 주었다. 청둥오리는 누구보다도 높이 누구보다도 멀리 날았고, 자기 아비처럼 청둥오리 무리의 파수꾼이 되었다. 늠름한 청년으로 자란 오리를 보면서 늙은 암탉은 행복했다.

암탉은 자신의 천적인 족제비의 새끼들에게도 연민과 사랑을 느꼈고, 급기야 자신의 몸을 양식으로 주었다. 그것은 비극도 아니고 희생도 아니었다. 그것은 엄마의 무한한 사랑이었고, 세상을 지켜주는 행복이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세상의 모든 엄마들에게 바치는 헌사였다. 아직도 중년의 아들에게 “아가”라고 부르는 나의 어머니에게, 그리고 딸아이를 낳아 애지중지 기르고 있는 아내에게 바치는 예찬이었다.

엄마, 세상을 구원하는 사랑의 원천인 엄마.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그 엄마들에게 무한한 감사를 드렸다.

사라지는 것들의 쓸쓸함

사라지는 것들의 쓸쓸함

멸족을 눈 앞에 둔 소인족 소녀 아리에티와 심장병으로 시한부 삶을 살고 있는 소년 쇼우. 따사로운 어느 봄날 그들은 조우한다. 아리에티에게 인간은 공포였고, 쇼우에게 소인족은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공포와 호기심의 만남은 서로에 대한 연민이 되었고, 그 연민의 끝은 이별의 쓸쓸함이었다.

아리에티와 쇼우 그들은 조만간 사라질 것이다. 소인족은 멸족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고, 쇼우는 삶을 지탱하기 힘들 것이다. 그들은 사라질 것이지만, 아리에티와 쇼우는 그들이 함께 했던 짧은 순간을 잊지 못할 것이다.

삶의 본질은 그런 것이다. 언뜻언뜻 희망의 한자락이 보이기도 하지만, 본질은 쓸쓸하게 사라지는 것이다. 사라지는 순간까지 삶은 지속될 것이고, 그 안에서 행복한 순간들을 만날 것이다.

그것으로 족한 것 아닐까.

아바타, 획을 긋는다는 것

아바타, 획을 긋는다는 것

제임스 카메론은 그의 최신작 <아바타>로 까칠한 천재 흥행 감독에서 스탠리 큐브릭과 미야자키 하야오의 계보를 잇는 거장의 반열로 올라섰다. 민노씨 님의 말처럼 좋든 싫든 이제 인간들이 만들어낸 영화는 <아바타> 이전과 이후로 나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카메론과 어깨를 견줄 수 있는 감독으로는 피터 잭슨 정도일 것이고, 나머지는 그야말로 나머지로 전락했다.

영화의 줄거리나 모티브가 새롭지는 않지만, 과문한 내가 보기에도 영화 역사상 가장 화려하고 완벽한 영상은 모든 반론들을 무마하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그리고 그 완벽한 영상들의 흐름을 아우르는 나비족 여전사 네이티리의 한마디는 왜 이 영화가 걸작인가를 말해준다.

All energy is only borrowed and one day, you have to give it back.

영화를 보면서 내내 씁쓸했던 것은 자본의 폭력과 인간의 탐욕이 우주 저 편 판도라 행성만 파괴시킨 것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러한 탐욕과 폭력은 지금 여기에서도 공공연히 자행되고 있다. 나비족은 판도라 행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이 땅 한반도에도 있는 것이다.

2009년 제임스 카메론은 영화 <아바타>로 획을 그었고, 이 땅 한반도는 <4대강 죽이기>로 난도질당하고 있다.

노인과 소

노인과 소

단 하루도 거르지 않고 노인은 소를 몰고 들로 나갔다. 그들에게 삶은 퍽이나 고달픈 것이었다. 새벽부터 저녁까지 논밭에 엎드려 그 힘든 노동을 견디어야 했다. 팔순을 바라보는 노인과 40년을 살어버린 소는 발걸음을 내딛는 것조차 힘겨워했다. 그렇게 30년을 살았다.

30년을 함께 한 소와 노인은 얼굴이 닮았고, 눈이 닮았고, 발걸음이 닮았다. 말하지 않고 눈빛만 봐도 노인과 소는 서로를 훤히 알 수 있었다. 노인은 소를 먹이기 위해 언제나 꼴을 베러 다녔고, 소를 위해 농약 한 번 치지 않았다. 소는 늘 노인의 뜻을 거스르지 않았다. 발걸음을 옮기는 것조차 힘들어 하면서도 늘 노인과 함께 들에 나갔다.

할머니와 자식들의 성화에 못이겨 노인은 소를 팔러 우시장에 갔다. 소는 눈물을 흘렸고, 노인도 눈물을 흘렸다. 30년의 세월이었다. 소를 얼마에 팔겠냐는 사람들의 말에 노인은 5백만원을 달라고 했다. 사람들은 이런 소는 거저 줘도 안가져간다며 소를 비웃었고, 노인을 비웃었다. 그 5백만원은 30년 세월을 같이 한 소에 대한 노인의 마지막 예의였다.

노인은 소가 얼마 살지 못할 것을 알았고, 소는 자기의 주검이 노인의 손에 거두어지기를 바랬다. 소의 숨이 끊어지기 전, 노인은 소의 코뚜레를 풀었고 워낭을 떼어냈다. 소는 비로소 눈을 감았다. 노인은 죽은 소를 밭 한가운데에 묻었다. 소의 무덤을 바라보며, 노인은 워낭을 흔들었다. 바람을 타고, 워낭소리가 소의 영혼을 달래주었다.

삶과 죽음으로 30년의 세월이 나누어졌음에도 워낭소리는 노인과 소를 이어주고 있었다. 노인도 곧 소의 뒤를 따를 것이고 워낭소리는 저세상에서도 노인과 소를 이어줄 것이다. 노인에게는 소가 있었고, 소에게는 노인이 있었다. 그들에게 주어진 삶은 참으로 퍽퍽했지만, 그들은 서로를 위로하며 그 삶을 견뎌냈고, 그들은 성자가 되었다.

난생 처음 부모님과 같이 극장에 가서 본 영화 “워낭소리”. 가슴이 먹먹했다.

혹시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배트맨?

혹시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배트맨?

이제서야 광야에서 백마를 타고 올 초인을 목놓아 기다리고 있는 시인의 마음을 알 것도 같다. 끝없는 절망의 나락 속에서 그여 그 희미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시인의 그 애타는 마음을 알 것도 같다.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이육사, 광야]

영화 Dark Knight에서 고담시의 정의로운 검사 Harvey Dent는 “영웅으로 죽든지 아니면 오래 살아남아 악당이 되는 것을 보든지” 둘 중의 하나라고 얘기했다.

WAYNE: Exactly. Who appointed the Batman?
DENT: We did. All of us who stood by and let scum take control of our city.
NATASCHA: But this is a democracy, Harvey.
DENT: When their enemies were at the gate, the Romans would suspend democracy and appoint one man to protect the city. It wasn’t considered an honor. It was considered public service.
RACHEL: And the last man they asked to protect the republic was named Caesar. He never gave up that power.
DENT: Well, I guess you either die a hero or you live long enough to see yourself become the villain. Look, whoever the Batman is, he doesn’t want to spend the rest of his life doing this. How could he?

사람들의 탐욕과 무관심 속에서 태어난 야만의 시대에 우리들은 절망했다.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육사의 그토록 원했던 초인이나 Harvey가 원했던 배트맨은 과연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인가? 이 야만의 시대를 어떻게 견딜 것인가?

차라리 영화였으면, 차라리 영화였으면 하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배우는 사람이 아니다?

배우는 사람이 아니다?

영화판에서 잔뼈가 굵은 한 제작자는 배우(俳優)라는 말을 풀어쓰면서, 한자로 배우를 나타내는 배(俳)는 사람인(人)과 아닐비(非)가 합쳐진 낱말로 “배우는 사람이 아니지만 아주 뛰어난 사람”이라는 엉뚱한 정의를 내렸다. 그는 이어서 배우들은 이성보다는 감성에 주로 의존한 삶을 살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에 비해 감수성이 아주 예민할 뿐더러 때로는 즉자적이고, 때로는 엇나간 모습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배우들은 영화나 연극 혹은 TV 연속극에서 늘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서의 연기를 해야 하는 직업을 가졌기에 때로는 진짜 자기가 누구인지 헷갈릴 때도 있을 것이다. 진짜 연기를 잘하는 배우들은 자기를 버리고 실제로 감독이나 연출자의 지휘에 몸을 맡겨버린다. 그리고, 그 작품을 촬영하는 동안에는 자기가 아닌 그 작품 속의 인물로 살아간다고 한다. 영화 밀양에서 신애를 연기한 전도연이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 작품이 끝나고도 본래의 자기로 돌아오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실제로 주홍글씨 촬영을 마친 이은주는 자살했다. 물론, 그 죽음이 영화 때문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에서 나오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배우든, 가수든 우리가 흔히 속된 말로 “딴따라”라고 부르는 광대들은 그들의 예술과 창작으로 관객들을 즐겁게 그리고 행복하게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들의 삶은 순탄치 않다. 아니 행복하고 바른 광대들은 더이상 광대라고 부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생의 밑바닥까지 부딪혀 보지 않고는, 그 쓰디쓴 인생의 절망을 맛보지 않고는 제대로된 광대가 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것이 그들의 천형이라면 천형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 길을 간다.

한때 이 시대 최고의 우상이었던 최진실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그는 배우로서, 연기자로서, 그리고 광고모델로서 꽤나 성공한 축에 들지만 그의 삶은 순탄치만은 않았던 것 같다. 견뎌야했던 것들과 견딜 수 없던 것들 속에서 그는 수없이 방황했을 것이고, 그 롤러코스터 같은 삶의 끝은 그에게 너무도 갑자기 그리고 어이없게 닥쳐버렸을 것이다. 슬픔은 엄마를 그렇게 보내버린 두 아이의 몫으로 오롯이 남아버렸다. 그에게 주어진 삶이 그만큼이라는데 누굴 탓할 것인가.

최진실의 죽음은 그가 너무 유명한 스타이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35명이 넘는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버리고 있다. 삶은 유명 배우에게도, 생활고에 시달리는 서민들에게도, 돈이 너무 많아 주체할 수 없는 재벌 회장에게도 그렇게 견디기 힘들고 팍팍한 것임을, 그리하여 붓다는 삶은 고(苦)라고 말씀하셨는지도 모른다.

비루하고, 고통스럽고, 쓸쓸하지만, 삶은 또 그렇게 지속된다. 스스로 세상을 등질 수 밖에 없었던 모든 이들의 명복을 빈다. 다음 생은 부디 편안하기를 그리고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다 행복하기를…

사람은 사람이다, 아무리 작아도

사람은 사람이다, 아무리 작아도

기괴한 주인공들이 리듬감있게 기이한 이야기들을 엮어나가는 Dr. Suess의 그림책들은 디즈니 류의 이야기들과는 다르다. “그 후로도 주욱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Happily ever after)” 식으로 끝을 맺는 디즈니의 그림책이 주류라고 한다면, 크리스마스를 훔치는 그린치나 초록색 달걀이 나오는 Dr. Suess의 그림책은 확실히 비주류라 할만하다. 낯설고 친숙해질 수 없는 뭔가가 있는 그의 그림책들은 상당히 컬트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r. Suess의 그림책에 나오는 문장들은 같은 운으로 떨어지는 리듬을 반복하고 있어 영어를 배우는 어린 아이들에게 더할 나위없이 좋은 교재로 쓰이곤 한다.

아거 님의 추천에 따라 주말에 7살 난 딸아이와 함께 “Horton Hears a Who”라는 영화를 보았다. 알려진대로 코끼리 Horton이 작은 먼지 속에 있는 또다른 세상과 소통하면서 그들을 구한다는 이야기다. 사실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만든 영화지만, 그 이야기가 전달하는 메세지는 녹녹하지 않다. 굳이 불교의 가르침을 꺼내지 않더라도, 이 작은 이야기 속에는 우주에 대한 진리와 삶에 대한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영화를 보면서 “나락 한 알 속에도 우주가 있다”라는 장일순 선생의 이야기가 계속 머리에 맴돌았다. 이 영화에서 계속 반복되는 Horton의 이야기.

A person’s a person, no matter how small.

아이들에게도 좋은 영화지만, 어른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그런 영화다. 좋은 영화를 소개해주신 아거 님께 감사드린다.

떠날 때를 아는 노인은 지혜롭다

떠날 때를 아는 노인은 지혜롭다

건조하고 황량한 세상을 쉼없이 살았다고 해서 누구나 혜안을 갖는 것은 아니다. 견고하고 치밀한 부조리를 복기하고 예언한다고 해서 모두가 지혜로운 것은 아니다. 진정 지혜로운 노인들은 자신이 떠나야 할 때를 아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책에 나오는 것도 아니고, 누가 가르쳐주는 것도 아니다. 본능과도 같은 것이다. 그 본능을 체득했다면 그는 주어진 자신의 삶을 미련없이 제대로 살아낸 것이다.

예수 이전에도 이후에도 세상은 언제나 말세였다. 세상은 늘 버릇없는 새로운 세대들 때문에 번민했고, 노인들은 그들의 싸가지 없음을 한탄했다. 하지만, 자신의 세대가 이미 지나갔음을 깨닫고 조용히 떠나는 노인들은 흔치 않았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그 어디에도 없음을 깨닫고 유유히 사라져야 하는데도 말이다. 자신들이 어쩌지 못하는 세상을 부여잡고 자신들의 삶의 방식을 고집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세상의 법칙이 아니다.

물 위를 흘러가는 배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삶은 그런 것이다. 미련없이 살다가 흔적없이 사라지는 것. 악당이든 보안관이든 누구든 이 법칙을 벗어날 수는 없다. 그것을 깨달았다면, 그가 악당이든 보안관이든 지혜롭게 무대를 내려올 것이다. 지혜로운 자들은 담백하게 자신의 삶을 털고 일어난다. 물론 쓸쓸하다. 하지만 삶의 뒤안은 누구에게나 쓸쓸한 법이다. 그것만이 위안이 될 것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이러한 삶의 쓸쓸한 뒤안을 조용히 보여준다.

영화에서 인상깊었던 부분 중 하나였던 동전던지기 장면이다.

Chigurh: You need to call it. I can’t call it for you. It wouldn’t be fair. It wouldn’t even be right.

Proprietor
: I didn’t put nothin up.

Chigurh: Yes you did. You been putting it up your whole life. You just didn’t know it.

자기 삶을 모두 걸어 놓고 그 사실을 모를 뿐이다. 그리고 선택은 언제나 본인의 몫이다. Anton Chigurh는 잔인하지만 참 매력적인 악당이다. 그의 머리 모양만큼이나.

삶과 우주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삶과 우주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과 자연과 우주와 아니 모든것에 대한 궁극의 답을 원했다. 이 궁극의 문제(The Ultimate Question)를 풀기 위해 “깊은 생각(Deep Thought)”이라는 컴퓨터를 만들었다. 사람들은 “깊은 생각”에게 물었다. 그 삶과 우주와 모든것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그것의 해답이 무엇이냐고. “깊은 생각”은 사람들에게 말했다. 그 답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히 750만년 후에 다시 오라고.

750만년이 지난 후에 사람들은 그 궁극의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다시 “깊은 생각”을 찾아갔다. “깊은 생각”은 대답했다. 그 궁극의 물음에 대한 답은

Forty-Two (42).

750만년을 기다린 사람들에게 42는 만족스런 답이 아니었다. 그러자 “깊은 생각”은 이렇게 말한다.

That’s not a question. Only when you know what the actual question will you know what the answer means.

더글라스 아담스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키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는 기발한 상상력과 황당한 설정으로 우리를 유쾌하게 만든다. 이 영화는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 보다는 조금 더 가볍고 유쾌하지만, 그 기발한 농담 속에 냉소가 배어있다.

그렇다. 문제를 정확히 아는 사람만이 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답을 알기 위해서는 문제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앞길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문제가 무엇인지를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한다.

“깊은 생각”은 괜히 “깊은 생각”이 아니다. (“깊은 생각”에 따르면 역사상 두번 째로 위대한 컴퓨터이니 말이다.)

문제는 인간에 대한 예의다

문제는 인간에 대한 예의다

심형래 감독의 “디 워(D’ War)”가 연일 화제다. 나는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았기 때문에 영화 자체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지만, 미루어 짐작컨대 이 영화가 아주 작품성이 뛰어난 건 아닌 것 같다. 심형래 감독이 그것을 의도한 것도 아니었을 것이고, 관객들도 작품성을 기대하고 영화를 보러 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대부분의 영화평론가들의 혹평 속에서 (물론 그들의 호평을 기대하지도 않았겠지만), 많은 블로거들과 네티즌들은 한 때 최고 코미디언이었던 영화 감독 심형래에게 열광하고 있다. 아니 열광까지는 아니더라도 그의 집념이 일구어낸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이 정도면 돈 주고 봐도 아깝지 않다고.”

그렇다면 왜 많은 블로거들과 네티즌들이 심형래를 옹호할까? 정말 관객들이 영화의 작품성을 평가하는 눈이 형편없기 때문에? 이송희일 감독의 말마따나 애국애족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비상식적인 벌거숭이 꼬마들이기 때문에? (사실 나는 이송희일 감독의 영화를 본적이 없지만, 영화 감독이 관객들에게 “평론가들에게 악다구니를 쓰는 벌거숭이 꼬마”라고 지칭하는 것은 관객 모독이고 상식을 벗어나는 자살 행위이다.)

영화 평가는 평론가들이나 감독의 몫이 아니다. 물론 그들도 나름대로 자기의 의견을 피력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관객들이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송희일을 비롯한 감독들과 많은 영화평론가(영화판 주류)들이 범한 실수 중 하나는 관객들을 가르치려 한다는 것이다. 정말 “디 워”를 보러 간 사람들이 예술적 작품성을 보고자 간 것일까? 관객들은 심형래의 영화에서 칸의 황금종려상을 원한 것이 아니다.

관객을 가르치려는 자들의 태도에서 우리는 “겸손”이라는 단어는 눈을 씻고 찾아 볼래야 찾아 볼 수 없다. 이송희일 감독을 비롯한 이들은 심형래를 타자화한다. 같은 영화인의 범주에 놓고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가 신물나도록 보아왔던 비주류에 대한 주류 계층의 공격이다. 아직까지도 (대학을 못 나온) 대통령을 인정하지 않는 이 땅의 기득권 주류들, 황우석이 의사였으면 그렇게 매몰차게 매장되었을까. 마찬가지로 심형래도 영화판에서 오래 굴렀지만 영화판의 주류들은 심형래를 같은 영화인으로 보지 않는다. 이송희일 같은 영화 감독의 태도에서 나는 소위 진보 좌파들의 교만을 본다. 자기들만의 주장이 옳고 우월하다는 그들의 독선을 본다.

관객들이 심형래의 영화에 호응하는 이유는 그의 삶의 궤적을 알기 때문이다. 그가 “디 워”를 만들기 위해 지난 십 수년 동안 쏟은 땀과 눈물을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보여 준 초기작과 “디 워” 사이의 그 간격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심형래의 성취가 호응을 받을만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관객들이 단지 애국 마케팅에 휘둘려 심형래의 영화를 보는 것이라 한다면 그건 우리나라 관객들의 수준을 너무 얕잡아 보는 것이다.

“영화를 영화로만 평가하자”는 영화판 주류들은 아직도 “스크린 쿼터” 사수를 주장한다. 심형래의 영화는 영화 그 자체로만 평가되어야 하고, 자신들의 영화는 “문화 제국주의”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는 그들의 이중성을 관객들이 감내하기란 쉽지 않다. 자신들의 영화는 정치, 경제, 문화의 논리로 보호되어야 한다면서 심형래의 아리랑 삽입에 대해서는 애국 마케팅이라 비하한다. 이런 상황을 네티즌들이 그냥 지나치기란 정말 쉽지 않다.

영화판 주류들은 심형래라는 인간에 대한 기본 예의조차 지키지 않았다. 영화의 최종 소비자이자 평가자인 관객들을 서슴없이 모독했다. 늘 그들이 마지막에 보이는 카드는 인간에 대한 “비아냥”이다. 과정과 결과로 정정당당하게 평가받을 수 없는 찌질이들의 마지막 자위 수단은 비아냥과 건방짐 뿐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간과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바보 전략’은 바보 아닌 것들을 비난하며, 서로를 바보, 바보 애정스럽게 부르다가 끝내는 정말 바보가 되어 선거함에 투표 용지를 몰아 넣거나 친절하게 호주머니를 털어 티켓값으로 교환해주는 바보 놀이, 즉 아주 수완 좋은 훌륭한 마케팅이라는 것이다.

[이송희일, 막가파식으로 심형래를 옹호하는 분들에게?]

어떤 관객들이 심형래의 영화를 막가파식으로 옹호한단 말인가. 심형래의 인생 궤적과 작금의 성취는 많은 관객들의 옹호를 받을만 하니 받는 것이다. 심형래를 시기할 것이 아니라 심형래보다도 더 훌륭한 삶의 자세와 더 멋진 영화로 당신들도 관객의 평가를 받는 것이 맞는 것 아닌가.

심형래의 영화가 작품성이 좀 떨어질지는 몰라도 심형래는 적어도 관객들을 비아냥대지 않았고 모독하지 않았다. 그것이 심형래에게서 영화판의 주류들이 배워야 할 첫번 째 덕목이다.

먼저 인간에 대한 예의부터 배우고 갖추길 바란다. 그 다음에 영화를 논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