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황사와 뼈아픈 후회

3월의 황사와 뼈아픈 후회

서쪽에서 온 바람에 모래가 실려 왔다. 사람들은 황사라고도 했고, 흙비라고도 했다. 숨쉬기가 버거웠고, 목이 아팠다. 모래알갱이가 서걱서걱 씹혔다. 겨울의 끝자락에서 사람들은 봄을 기다렸지만, 봄은 황사에 밀려 쉬이 오지 못했다.

서걱거리는 황사 속에서 왜 자꾸 황지우의 “뼈아픈 후회”라는 시가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그 끝없는 이기심들의 암묵적 합의로 태어난 거짓의 향연 속에 사막의 모래바람이 사정없이 불어온다. 후회가 부질없기는 하지만 때로는 뼈에 새기는 아픔이 필요하기도 할 것이다.

이제 겨우 2주가 지났을 뿐인데, 황사 속에 끝없는 폐허가 아른거린다.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

나에게 왔던 사람들,
어딘가 몇 군데는 부서진 채
모두 떠났다

내 가슴속엔 언제나 부우옇게
바람에 의해 이동하는 사막이 있고 ;
뿌리 드러내고 쓰러져 있는 갈퀴나무, 그리고
말라 가는 죽은 짐승 귀에 모래 서걱거리는

어떤 연애로도 어떤 광기로도
이 무시무시한 곳에까지 함께 돌어오지는
못했다, 내 꿈틀거리는 사막이, 그 고열(高熱)이
에고가 벌겋게 달아올라 신음했으므로
내 사랑의 자리는 모두 폐허가 되어 있다

아무도 사랑해 본 적이 없다는 거 ;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이 세상을 지나가면서
내 뼈아픈 후회는 바로 그거다 ;
그 누구를 위해 그 누구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거

젊은 시절, 도덕적 경쟁심에서
내가 자청(自請)한 고난도 그 누구를 위한 헌신은 아녔다
나를 위한 헌신, 나를 위한 희생, 나의 자기 부정 ;

그러므로 나는 아무도 사랑하지 않았다
그 누구도 걸어 들어온 적 없는 나의 폐허

다만 죽은 짐승 귀에 모래알을 넣어주는 바람뿐

[황지우, 뼈아픈 후회]

3 thoughts on “3월의 황사와 뼈아픈 후회

  1. 신문이나 온라인매체들에서 ‘이명박 대통령’이란 표현을 읽으면..
    아직도 그게 잘 실감이 나지 않곤 합니다.

    추.
    황지우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시인인데요.
    그의 산문(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를 읽으면서 이렇게 한국어를 감각적으로, 또 이성적으로 구사할 수 있구나 놀라웠던 기억이 아직도 새롭습니다.
    가장 좋아하는 시집은 ‘나는 너다’인데… 문득 그 시집을 다시 읽어보고 싶네요.

    그런데 최근에 황지우가 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위원을 하는 꼬라지를 보고…
    아, 영원히 늙지 않을 것 같던… 이 양반도 늙는구나.. 싶은 생각도 들고..
    기분이 참 묘하더라구요.

Leave a Reply